일상생활까지 힘들게 할 정도의 괴로운 두통을 겪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아무리 두통약을 먹어도 낫지 않고, 내과를 내원해서 검사를 해봐도 도통 이 두통의 원인을 찾을 수 없을 때, 원인이 ‘목’에 있을 수 있습니다.

7개의 뼈로 구성이 되어 있는 우리의 목뼈는 몸을 곧게 지지할 수 있게 하면서,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또한, 전신에서 뇌로 이어지는 감각신경이나 운동신경을 보호해주는 역할도 해주는데요.

목디스크는 경추 뼈와 뼈 사이 추간판인 디스크가 탈출하거나, 파열이 되어 경추신경을 자극 또는 압박을 하여 목, 어깨, 등, 팔 등에 통증이나 신경학적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대부분의 목디스크는 심각한 퇴행성 변화 이루에 일어나기 때문에 많은 환자가 만성적인 목의 통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목디스크초기증상은 디스크가 빠져나온 정도와 방향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므로 몇 가지만 정리해서 설명하는 게 힘들긴 하지만, 대표적으로 3가지의 목디스크초기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목디스크초기증상 3가지]
- 어깨나 팔, 손 등에 전체적으로 통증이 생겼다.
목디스크는 원래 자리를 벗어나 튀어나온 디스크의 일부나 척추뼈에서 생긴 골극이 어깨나 팔, 손으로 가는 신경을 눌리면서 증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신경이 목 부위에서 손상을 입게 되면 어깨, 팔, 손 등에 통증이 생기게 됩니다.

- 팔에 힘이 빠지면서 반신이 저리고, 우둔해졌다.
척수가 눌린 정도에 따라 한쪽 팔만 마비되기도 하며, 양쪽 팔의 감각이 둔해지고 눈을 감았을 때 비실거리는 경우는 매우 위험할 수 있으니 빠르게 병원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 두통이나 어지럼증, 현기증, 이명이 생겼다.
목디스크가 생기면 혈액순환에도 장애가 생겨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두통이나 어지럼증, 현기증, 이명 등이 생길 수 있는데요. 또한, 디스크에 수핵이 중앙에서 탈출해서 목을 지나는 신경을 살짝 누르기만 해도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목디스크초기증상을 확인해봤습니다. 이러한 목디스크는 왜 나타나는 것일까요? 원인을 살펴보고 글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목디스크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생활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잦은 사용이나 장시간의 독서 등으로 인한 목뼈의 C자형 곡선이 일자목, 거북목으로 변형이 된 경우나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모니터를 향해 목을 쭉 내미는 습관이나 한쪽으로만 물건을 드는 버릇으로 몸의 균형이 깨졌을 때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바르지 않은 자세로 장시간 앉아 있거나 운동을 할 때 너무 목에 과한 힘을 주는 경우, 내 체형에 맞지 않는 베개를 이용해 수면을 하여 밤새 목이나 어깨 등의 근육이 긴장한 경우 등이 목디스크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생활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목디스크는 퇴행성으로 서서히 진행이 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물론 갑자기 나타나는 급성 목디스크(교통사고, 낙상, 스포츠 사고 등)도 있지만, 대부분이 단순 근육통으로 생각하고 검사를 받지 않아 질환을 키우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 준비한 목디스크초기증상을 숙지하신 뒤에 내 몸에서 알려주는 적신호를 알아채고 시의적절하게 대처를 하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