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황달은 피부와 눈 흰자 위의 색이 노랗게 변하는 증상으로,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인해 황달을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이 증상은 생후 첫 주 내 만삭아의 약 60%와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이 되는 증상으로 대부분 크게 문제없이 좋아지는 경우가 많지만, 심한 황달 증상임에도 치료하지 않는다면 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하는데요.

신생아 황달은 크게 생리적 황달과 병적인 황달 2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해당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나 경과, 예후 등이 상이 하기 때문에 어떤 종류의 황달인지 정확한 감별이 필요합니다.

  1. 생리적 황달 :
    생리적 황달은 태어나고 난 뒤 적응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만삭아에게서는 생후 2~8일까지 나타날 수 있으며, 미숙아는 생후 14일까지 증상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생리적 황달의 경우 별다른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치료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황달 증상이 사라지게 됩니다.

  1. 병적인 황달 :
    병적인 황달은 생리적 황달보다 저 심하게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 질환을 가지고 있습니다. 황달이 출생 당일부터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15mg/dL 이상이며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이 큰데요. 이때는 즉시 병원을 방문해서 의사의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아기를 진찰할 때 피부와 눈의 흰자 위의 노란 정도에 따라 신생아 황달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을 할 수 있습니다.

이외 병적인 황달을 의심할 수 있는 창백증이나 두혈종, 피부발진, 구토, 설사, 흰 대변, 밝은 노란 대변 등의 소견이 있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또한, 황달의 심한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혈액 검사를 해야 하며 소량의 혈액을 채취해서 빌라루빈 농도가 10~12mg/dL일 경우 2차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신생아 황달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광선요법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광선요법은 피부에 축적된 빌리루빈에 빛을 쬐어 빌리루빈의 형태를 변하게 해서 간에서 담즙으로 배설하거나, 소변으로 배설하는 것이 쉬워지게 되는데요. 이러한 치료로 빌리루빈 농도가 감소하여 신생아 황달 증상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잠시 언급했듯이 신생아 시기에는 대부분의 아기들이 황달 증상을 가지고 있고, 대부분 문제없이 지나가곤 합니다.

하지만 심한 경우 신경계에 손상이 가서 청력 손실 등이 생길 수 있으니 시기를 놓치지 않고 치료를 해주는 것이 좋은데요. 신생아 황달 증상이 보이거나 의심이 된다면 소아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 정확하게 알아보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 준비한 글을 통해 신생아 황달 여부를 대략적으로라도 판단하여 의심된다면 꼭 병원을 찾아 가보시기 바랍니다!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