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근새근 잘 자던 우리 아기가 코를 곤다?!”
코가 막히게 되면 숨을 쉴 때 바람 새는 소리가 나거나 코골이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아기가 코를 골거나 드렁드렁 컹컹소리를 내는 이유는 바로 신생아 코막힘 때문입니다.
몸을 만지는 것조차 조심스러운 아기가 코가 막혔을 때 어떻게 해줘야 하는지 고민이 되시나요? 오늘 준비한 신생아 코막힘 내용을 살펴보고 해결해보시기 바랍니다.

외부의 공기가 코를 통과하면서 미세물질이 콧속 점막에 붙어 걸러져 몸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콧속 점막에 붙은 외부 물질과 코안에 점액 물질이 뭉쳐져 코딱지가 됩니다.
신생아는 콧속의 구조가 아직 덜 발달했기 때문에 공간이 작아 코딱지가 생기면 코가 막혀 숨을 쉬기 어려워하는데요. 신생아 코막힘을 장시간 방치를 해주면 콧속에 있는 고름이나 물 등이 차서 염증으로 발생할 우려가 있으니 빠르게 해결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먼저 신생아 코막힘 원인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고 가겠습니다.

첫 번째, 아직 덜 성장하여 콧속의 공간이 좁을 때
신생아는 비강이 좁아서 숨을 쉴 때 그렁그렁, 드렁드렁거리는 등의 막히는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아기가 성장하면서 콧속도 함께 성장하고 콧속에 공간도 커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나아질 수 있는데요. 아직 성장이 덜 되었을 때는 콧구멍 라인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마사지를 해주는 것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감기나 기타 질환으로 인한 코막힘
코감기 때문에 코딱지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생아는 사실 쉽게 감기에 걸리지 않는데요. 만약 감기에 걸려 콧물이 흐르거나 막혔다면 굳이 병원에 가지 않아도 되지만, 심한 상황에는 병원을 찾아주는 것이 좋답니다.

세 번째, 너무 건조하거나 습한 경우
주변이 건조해도 코가 막힐 수 있지만 습한 상황에도 코가 막힐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생아의 코가 막히지 않도록 건조하거나 습하지 않게 주변을 관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네 번째, 단순히 코딱지 제거가 필요한 경우
첫째 내용에 말했던 것처럼 신생아는 콧속이 좁아 코딱지가 있으면 숨 쉬는 것이 힘들 수 있는데요. 어른처럼 코를 직접 풀거나 뺄 수 있는 게 아니므로 수시로 체크 해주면서 하루 한 번에서 두 번 정도 코가 막히지 않았나 확인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코가 막혔을 때는 어떤 방법으로 해결해야 할까요?
생리식염수를 조그마한 아기 콧속에 넣는 게 힘들다면 작은 감기 약통에 넣어서 1~2방울 정도 떨어뜨려 주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은 시중에 일회용 스포이드도 판매하고 있어 이런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더 위생적일 수 있는데요.
면봉에 생리식염수를 충분히 묻힌 뒤에 콧구멍 입구에 살짝 대주어야 하며 콧속을 심하게 자극하지 않게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단, 마른 면봉을 사용하시면 안 됩니다.

신생아가 코가 막히면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엄마 아빠의 세심한 관리와 관심이 꼭 필요하답니다.
우리 아기가 코가 막히는 원인을 알아보고,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확실히 안 후에 아기 코막힘을 해결해서 불편함이 없게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