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지러움 증상 및 원인, 치료 방법 등에 대한 포스팅을 준비해봤습니다.

만약 비슷한 증상이 있다면 상태가 악화되기 전 정확한 상담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보시기 바랍니다.

  1. 어지럼증의 원인을 알아보자.

어지럼증은 자신이나 주위 사물이 정지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받는 증상으로 빙글빙글 도는 느낌을 얻을 수도 있고, 자세 불안이나 눈 떨림 등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어지럼들은 조율에 따라 원인이 달라질 수 있는데요. 이런 증상은 다양한 질환이나 상태에 의해 발생이 되며, 증상의 특징에 따라서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현훈 : 현훈은 세상이 자신을 중심으로 회전을 한다고 잘못 지각하는 현상입니다. 말초나 중추성 전정질환에서 흔히 발생하며, 특정 동작에 의해 유발이 되기도 하는데요. 또 현훈의 경우 머리의 움직임에 의해 악화 될 수 있습니다.
2) 균형장애 : 서 있거나 중심을 잡지 못하고 쓰러지는 증상으로 전정척수반사, 고유수용체감각, 소뇌나 전두엽 등 운동조절을 담당하는 신체 기관에 이상이 있을 때 균형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실신성 어지럼증 : 정신을 잃을 것처럼 아득해지는 느낌을 받는 것으로 저혈당이나 기립성 저혈압, 부정맥, 혈관성 미주신경 발작 등에 의해 심박출량의 감소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실신성 어지럼증은 누워있다가 갑자기 일어날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심인성 어지럼증 : 머리 안이 빙빙 돌거나 흔들림, 뜨는 느낌 등이 혼재되어 오는 어지럼증으로 공황장애나 광장공포증, 불안장애, 우울증, 외상후증후군 등이 원인이 되었을 때 심인성 어지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5) 기타 어지럼증 : 진성 어지럼증이 아닌 현상이 어지럽다고 하는 가성 어지럼증으로 정확한 검사를 통해 감별을 해야 합니다.

  1. 어지러움 증상은 어떤 증상들이 있을까?

어지러움 증상은 주로 자신 혹은 주위 사물이 정지해 있지만 움직이는 느낌을 받는 것입니다. 또한, 어지럼증의 원인에 따라 동반하는 증상이 달라질 수 있으니 아래 내용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현훈이 원인일 경우에는 안진, 안구 편위 등의 안구 운동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운동 실조, 자세 장애, 오심, 구토, 불안 등의 자율 신경 장애가 함께 나타나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균형장애가 원인일 때는 감각 장애나 근력 약화, 행동이 느려지는 증상이 생길 수 있으며 실신성 어지럼증은 누웠다가 일어날 때 아득해지는 느낌과 어지럼증이 생기고, 심인성은 머리 안이 빙빙 돌거나 몸이 뜨는 느낌, 흔들리는 느낌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어지러움 증상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어지럼증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어지럼증이 발생했을 때 신경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지럼증은 징후가 잘 나타나지 않아 다양한 검사를 통해 전정계의 이상 증상을 찾아야 하는데요. 원인에 따라 다양한 경과와 합병증을 보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어지러움 증상이 심할 때는 일단 가장 편한 자세로 눕거나 앉은 뒤 눈을 감은 상태로 움직이지 않는 것이 가장 좋으며, 갑자기 발생한 어지럼증으로 편측마비나 발음 장애 등이 동반되면 뇌졸중을 시사하는 증상으로 볼 수도 있어서 즉시 병원으로 이송되어야 합니다.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