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는 고혈압에 알아보려고 합니다. 
성인에게 흔한 질병이 된 고혈압은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해 방치하게 되지만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여 위험에 빠트리는 무서운 질병입니다.  

고혈압에 대해 알아보고 건강한 혈압 유지하세요!

▶ 국민질병 고혈압

국내 1000만 환자 ‘국민 질병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로 불릴 만큼 흔한 질환이며 성인 3명 중 1명꼴로 발생한다고 합니다.

고혈압은 혈관 속에 찌꺼기가 쌓여 혈관 속을 흐르는 혈액의 압이 높아지는 증상으로 각종 합병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별 증상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갑자기 사람을 사망에 이르게 하기도 하는데요.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이 두려워하면서도 무심코 넘길 수 있는 이 질병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 고혈압, 혈압이 몇 이상이어야 하나요?

고혈압의 수치는 최고혈압 140 이상,  최저혈압 90 이상이 넘는 사람은 병원을 찾아 상담을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최근 미국심장학회와 심장병 학회에서 고혈압의 기준을 낮춰 이슈가 되었습니다. 그만큼 고혈압이 위험한 질병이라는 뜻인데요. 최고혈압 130 이상, 최저혈압 80 이상으로 낮춘 미국의 기준에 국내에도적용을 하면 성인의 절반이 고혈압 환자에 속하게 된다고 합니다. 혈압 측정 시 130/80mmHg 이상이 나왔다면 고혈압 관리에 들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 고혈압, 어떻게 확인하나요?

1. 혈압 측정기 안으로 팔꿈치 전까지 팔을 깊숙이 넣어주세요. 
2. 의자를 앞으로 당겨 최대한 측정기에 밀착해주세요. 불편한 자세는 정확한 혈압 측정이 불가능합니다. 
3. 혈압 측정 부위와 심장의 높이를 맞춰주세요. 

* 주의사항 
1. 혈압 측정 30분 이전에 커피, 흡연을 삼가해 주세요. 
2. 측정 전 5분 정도 안정을 취한 후 혈압을 측정해주세요. 
3. 여러 번 측정 한 후 평균값을 내주세요. 
4. 처음에는 양팔 모두 측정한 후 비교하시는 게 좋습니다. 양쪽팔의 혈압이 15mmHg 이상 차이 나게 되면 혈관질환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혈압약은 평생 먹어야 하나요?

고혈압 환자들 중 식이요법과 운동을 통해 혈압을 낮춰 약을 중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혈압이 낮아졌다 해도 다시 높아질 수 있는 위험이 있기에 임의로 약을 끊거나 조절해서 드시면 좋지 않습니다.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에 약을 조절하여 혈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바나나 
바나나 속에는 칼륨이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바나나 한 개에 들어있는 칼륨이 1일 권장량에 미친다고  하네요. 바나나를 꾸준히 섭취하면 고혈압, 뇌졸중 사망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비트
혈관질환 예방에 뛰어난 효능을 가지고 있는 비트는 베타시아닌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활성산소를 없애주고 조혈 작용를 합니다. 또한 혈관 확장과 혈액 순환을 돕는 채소입니다. 

3. 잣 
잣 또한 풍부한 칼륨이 들어있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100g에 바나나 6개에 해당하는 칼륨이 들어있어 칼륨의 왕이라고도 불립니다. 단, 불포화지방산과 열량이 높으니 하루 20~30개 정도만 섭취해주세요.

4. 양파 
양파 속에 들어있는 펙틴이라는 영양소는 혈액 내 해로운 물질을 없애주고 혈액에 양분이 많이 흡수되는 것을 막아주어 혈압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5. 등 푸른 생선 
등 푸른 생선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오메가 3는 관절염, 안구질환 등에도 좋지만 심혈관질환에도 뛰어난 효능을 보입니다. 또한 칼슘이 풍부히 들어있어 우리 몸의 염분을 줄여주고 나트륨을 배출시켜줍니다.

무엇보다도 건강한 식사!

고혈압은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됩니다. 대표적으로 과다한 나트륨 섭취, 유전, 흡연, 나이, 비만 등이 있습니다. 적당한 나트륨의 섭취는 우리 몸에 도움이 되지만 과다할 경우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1.6배 높아지게 된다고 합니다. 대사증후군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의 연관된 증상과 함께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또한 당분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도 고혈압의 위험을 크게 만드는데요. 최근 고혈압에 설탕이 더 나쁘다는 미국 세인트루크 미드 아메리카 심장연구소와 몬티피오리 메디컬 센터 연구팀의 연구결과가 있었습니다.

과도하게 설탕을 섭취할 경우, 교감 경계를 자극시켜 심박수를 상승시키고 일산화질소의 농도를  낮춰 여분의 나트륨이 소변으로 나오는 걸 막게 됩니다. 그 결과, 혈액의 이온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많은 양의 수분이 흡수하게 되는데요. 이는 혈액량이 많아지고 혈관이 이완되지 않아 혈압이 오르게 됩니다.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